Part III. 통합 구현
Chapter 01 연계 데이터 구성하기
01 연계 요구사항 분석
1 통합 구현
(1) 통합 구현의 개념
(2) 송신 시스템
(3) 수신 시스템
(4) 중계 시스템
(5) 연계 데이터
(6) 네트워크
2 연계 요구사항 분석
(1) 연계 요구사항 분석의 개념
(2) 요구사항 분석 시 입력물
(3) 요구사항 분석 시 도구 및 기법
(4) 요구사항 분석 결과물
3 단위 모듈 구현
(1) 공통 모듈
(2) 단위 모듈
(3) 모듈화
* 통합 구현은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에 맞게 중계 시스템과 송신·수신 시스템 간의 관계를 적절히 구현하는 것이다.
* 통합 구현을 위해 연계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고, 연계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해서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은 중요한 작업이다.
* 공통 모듈은 전체 시스템 설계를 할 때에 가각의 서브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모듈들을 하나로 묶어 놓은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말한다.
02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
(1)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의 개념
(2)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
(3)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(Mapping)
(4) 연계 데이터 식별자와 변경 구분 추가
(5) 연계 데이터 표현 방법
(6) 연계(인터페이스) 정의서 및 명세서
* 연계 데이터의 구성은 연계 데이터를 식별하고 식별된 연계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과정이며, 이 수행 결과로 연계(인터페이스) 정의서를 작성한다.
* 식별자는 송신된 정보가 수신 시스템의 어떤 데이터에 해당되는지 추출하기 위해서 수신 시스템의 연계 정보에 송신 시스템의 식별키 항목을 추가하여 관리한다.
* 연계 항목, 연계 데이터 타입, 길이 등을 구성하고 형식을 정의하는 과정의 결과물고 연계 정의서를 작성한다.
'study ..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art IV. 서버 프로그램 구현 Chapter 01 개발환경 구축하기 (0) | 2025.03.10 |
---|---|
Part III. 통합 구현 Chapter 02 연계 매커니즘과 내외부 연계 모듈 (0) | 2025.03.03 |
Part II. 데이터 입출력 구현 Chapter 02 정규화와 데이터 조작 프로시저 (0) | 2025.03.01 |
Part II. 데이터 입출력 구현 Chapter 01 데이터저장소 (0) | 2025.02.21 |
Part I. 요구사항 확인 Chapter 02 요구사항 확인 (0) | 2025.02.18 |